12

번역계에도 김성모 화백이? – 스티브 잡스 전기 번역관련

2011/10/31
Share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스티브 잡스 전기의 번역 오류와 관련, 처음으로 문제 제기를 한 이덕하님의 글들을 읽어보았다.

번역오류도 그렇지만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유명한 번역가들 가운데 문제의 안진환씨는 무려 2007년에만 30권을 번역했고, 공경희씨 같은 경우는 1년에 22권을 번역하면서 대학교 출강까지 나간다는 점이었다.

이 정도면 가히 번역계의 김성모 화백 수준이 아닌가?

만화처럼 어시스턴트 인력을 대규모로 두고 스토리, 콘티, 데생, 채색, 스크린톤 작업을 분업화해서 작업하는 식이라면 모르겠으나, 1인이 1년 동안 20~30권을 번역한다는 것은 말도 되지 않는 분량이다.

출판계로부터 들은 번역계 정보에 의하면, 보통 한 권의 책을 번역하는데 출판사가 번역자에게 주는 기한은 3개월 이내이며, 직업으로 번역하는 사람들은 1~2개월에 한 권 끝내는 정도의 속도가 일반적이라고 한다.

번역은 매절 개념이니 번역자는 원고를 넘기면서 일시불을 지급받게 되며, 인세계약이 아니기 때문에 책이 더 팔려도 번역자에게 돌아가는 몫은 없다. 대체로 한 권을 번역하면 300~400만원 사이의 번역료를 지급받게 된다고 한다.

그러므로 한두 달에 한권씩 번역을 하게 되면 웬만한 샐러리맨 수준의 급여를 기대할 수 있겠지만, 하루 온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 자판을 두들기며 사전과 씨름한다는 것은 보통 힘든 일이 아닐 것이다.

글쓴이가 아는 정보를 종합해보면, 다작이 가능한 A급 번역가의 경우 한 달에 한 권 번역하는 정도가 한계에 가까우니 1년에 12권 남짓 번역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것도 연속적으로 일이 주어진다는 전제하에서. 출판-번역계약 등에 지연되는 시간을 생각해보면 이 또한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다면 안진환, 공경희씨 같은 경우에는 인간의 한계를 초월한 번역가이거나, 알려진 것과 달리 혼자서 번역활동을 하는 것이 아닌 여러 명의 번역 서포터를 두고 본인의 이름으로 출판한다는 가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의심을 가지게 되는 이유는 또 있다. 바로 CAT(Computer-Assisted Translation) 프로그램의 사용여부이다.

최근에는 번역가들이 예전처럼 주먹구구식으로 사전 뒤져가며 번역하지 않는다. 번역작업시에 워드프로세서 + 사전 + 번역 데이터베이스가 합쳐진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프로그램을 CAT tool 혹은 TM(Translation Memory)라고 한다.

CAT tool 분야에서 유명한 프로그램으로는 Trados, Wordfast, Star Transit, OmegaT 등이 있으며, 이런 류의 프로그램에서는 한 번 번역했던 문장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놨다가, 번역작업중 완벽히 일치하거나 어느 정도 유사한 문장이 있으면 번역자에게 확인을 시켜주기 때문에 번역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된다.

그런데 이덕하님의 번역오류 지적글을 보면, 안진환 번역가의 스티브 잡스 전기중 여러군데에 걸쳐서 같은 뜻의 문장을 다르게 번역한 내용이 눈에 띈다. (예: ‘데스크톱’, ‘세상을 바꿔 봅시다’ 등)

여기까지 생각해보면, 번역가에 대해 두 가지 의문점이 생길 수 있다.

  1. 안진환 번역가는 CAT 툴을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번역을 하고 있는가? 그렇다면 어떻게 일년에 30권 번역이라는 초인적인 속도를 낼 수가 있는가?

  2. 안진환 번역가는 알려진 것처럼 스티브 잡스의 전기를 혼자서 번역한 것이 아니라, 혹시 여러명의 번역자에게 번역외주를 준 것이 아닌가? 그렇다면 왜 그 사실을 밝히지 않았는가?

판단은 글을 읽는 분들의 몫으로 남겨두는게 좋을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2번에 의혹의 무게중심을 두고 있는데, 다작을 하는 번역가 중에서 CAT 툴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같은 뜻의 문장을 매번 다르게 번역했다는 점에서 말이 되지 않으며, 여러명의 번역가가 파트별로 나눠서 작업을 한 후 합쳤다면 CAT 툴의 사용여부에 관계없이 같은 문장이 다르게 번역된 사실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CAT 툴을 사용했다면, 번역가마다 자신의 CAT 툴에 축적된 번역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이 다르다는 의미)

대부분의 번역가들이 불안정하고 많지 않은 수입을 위해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번역일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고 믿고 있다. 만약 공장식 번역재벌(?)과 같은 번역가가 존재한다면, 단 시간에 다작하는데 중점을 두지 말고 번역 퀄리티를 높이는데 신경을 쓰는 것이 옳지 않을까.

모쪼록 이번 스티브 잡스 전기의 오역소동이 대한민국 출판계에서 번역물의 품질향상에 대해 신경쓰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사족.

  1. 트윗에서 지인과 스티브 잡스 전기의 오역관련에 대한 이견이 있어, 이덕하님이 지적한 41개의 문장을 다시 한 번 정독해 보았다. “영어원고 최종본과 안진환 번역자가 작업한 원고가 달랐다”는 민음사와 안진환 번역자의 변을 전제에 깔은 상태로, 부분부분 단어 번역이 누락된 내용을 제외하고도 11~12개의 문장 번역에 중대한 오류가 있다고 느꼈다.

(예: 리사가 어느 정도는 인정 받았다는 내용을 아예 인정받지 못했다고 번역한 점, 문맥상 상사들의 존재를 무시하고 존 한 명이 불쾌해했다는 점, 데스크톱 컴퓨터와 진짜 책상을 구별하지 못한 점 등등)

사실 나머지 부분들은 번역자의 스타일 차이거나 무시해도 되는 정도라는 느낌도 받기도 했다. 이덕하님은 민음사와 안진환 번역자의 변을 들은 후 새로 쓴 글에서, 이런저런 점을 다 고려하고도 여전히 당신이 지적한 41개의 문장중 9개에 중대한 오류가 있다고 본다는 견해를 밝혔다.

  1. 전세계 동시출간인 책인데, 영어원고 최종본과 한국 번역가가 작업한 원고의 내용이 달랐다면 그것 만으로도 리콜감이 아닌가 생각한다. 미국판은 이미 개정증보판에 해당하는 것이고 한국판은 초판에 해당하는 것이 되므로.